저는 개인적으로 모하비를 엄청 좋아합니다.
디자인도 맘에 들고 S2 엔진은 유일한 v6 3000cc 이기 때문에 가장 좋아합니다.
그런데 왜 모하비를 버리고 팰리를 선택하게 되었는지 적어보려 합니다.
급이 다른 차량이고, 비교 대상이 안된다고 카페나 동호회에서 끊임없는 논쟁거리가 되었지만, 결국 비교할 수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는 가격대가 비슷하기 때문입니다.(풀옵션 기준)
두 차종 실물을 비교하고, 카탈로그를 분석하면서 나에게 정말 적합한 차가 뭔지 다시 한번 곰곰이 생각해 보며, 차량 구매의 당위성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돈은 없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차량 선택 기준(모하비 vs 팰리세이드)
※ 내 맘대로 선정의 기준
- 더 모하비 마스터 4WD 6인승 디젤 v6 3000cc - 73.5점
- 팰리세이드 캘리그래피 HTRAC 7인승 가솔린 v6 3800cc - 84.5점
추후 왜 가솔린을 선택하고, 사륜을 선택하는지 적어 보는 걸로 하고 우선은 모하비에서 팰리세이드로 선택하게 된 이유를 적어보겠습니다.
1. 활용성(요율 4)
프레임바디와 모노코크바디의 특성을 고려하여 나에게 가장 맞는 용도가 뭔지 생각해 봤습니다. 일 년에 진짜 단 한 번도 임도나 비포장도로를 간 적이 없었기에 제가 과연 프레임바디의 모하비가 온로드 주행만 하는 저에게 진짜 필요한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특히, 서울에 살면서 주말에 고속도로를 타고 여행을 다니는 용도로는 더욱이 바퀴에 흙을 묻히는 일이 없었습니다. 비록 운전하는 맛이 있는 모하비였지만, 도심에서 그동안 잘 탔던 투싼을 생각하면서 모노코크 바디를 사용하는 팰리세이드에 더 높은 점수를 주게 되었습니다.
2. 승차감(요율 3)
일단 가솔린과 디젤을 비교한다는 건 무리.
프레임바디와 모노코크바디의 비교도 무리.
3열 공간의 크기 또한 팰리세이드가 모하비 보다 컸습니다. 저희 집은 4인 가족 외 양가 부모님과 함께 움직일 때가 있는데, 이럴 경우 고려해보면 3열의 승차감이 타가다 타는 기분인 모하비보다는 그나마 덜 튀는 팰리가 좋아 보였습니다.(펠리는 시승 안 해 봤습니다)
3. 편의장치(요율 3)
둘 다 최신 차량이 긴 하나 팰리의 편의 장치는 지금까지 제가 인터넷으로 찾아봐도 너무 많고 저에게 과분한 기술들이었습니다. 운전석 외 보조석/후석 등에 편의 장치는 모하비보다 한수 위였습니다.
4. 안정성(요율 2.5)
사람들이 프레임바디가 튼튼하다고 하지만 실제로 안정선에 대하여 깊게 공부해본 적이 없을 겁니다. 프레임바디는 전면충돌시 다 차량 대비 피해는 적으나 차체와 승객의 충격은 크다고 합니다. 예전 각 코란도 사고 나면 차는 멀쩡한테 사람들이 입원한다는 말이 그런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또 다른 문제는 프레임바디경우 측면 혹은 빗겨 부딪칠 경우 차량 전복이 잘 된다는 점은 약점입니다. 모노코크 대비 높은 차고도 전복 및 구르기 좋습니다.
특히나, 긴급상황 회피 능력은 이미 미국에서 렉서스 lx470과 함께 최하점을 맞아 미국 시장에서 철수 한 경험이 있습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1012009081427066&vgb=autom
기아차 모하비 "2년만에 美 철수" - 머니투데이
기아자동차의 대형 스포츠다목적차량(SUV) 모하비(수출명 보레고)가 2년만에 미국 시장에서 철수한다. 지난해 카렌스(수출명 론도)의 미 시장 철수 결정에 이은 결정으...
news.mt.co.kr
반면 - 2020년형 팰리세이드가 IIHS 차량 충돌 시험 결과, 가장 높은 등급인 TSP(Top Safety Pick +) 획득하였습니다.
http://m.hankooki.com/m_sp_view.php?WM=sp&WEB_GSNO=6705322
현대차 '펠리세이드, 미국 안전성 평가에서 최고 등급 인정'
[스포츠한국 이승택 기자] 현대차는 2020년형 팰리세이드가 IIHS 차량 충돌 시험 결과, 가장 높은 등급인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op Safety Pick +, 이하 TSP+)’를 획득했다고 밝혔다.팰리세이드는 전
m.hankooki.com
차 아끼는 것보다 이제는 가족의 건강과 안전이 더 중요하다고 느끼기에 팰리가 조금 우위인 것 같습니다.
5. 유지비(요율 2.5)
차값이 가솔린이 더 쌉니다. 하지만 연간 유지비는 디젤 대비 약 100만원 정도 추가 비용이 발생됩니다.
단 기존에 m3 타면서 고급유 퍼붓던 거 생각하면 크게 임팩트 오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6. 디자인(요율 2)
모하비의 압승입니다. 팰리는 그냥 멧돼지 같습니다...ㅠㅠ 차라리 텔라루이드가 있었다면 어땠을까요.
7. 출력(요율 1)
디젤 3000cc 나 가솔린 3800cc나 출력은 대동소이하고, 두 차량 다 출력 면에서 부족함을 느끼진 못할 겁니다. 특히나 패밀리 차량으론 말이죠.
8. 차량가격(요율 1)
현기차가 5천만 원이 넘습니다. 두 차량 다 5천이 넘는데 모하비가 조금 더 비쌉니다. 펠리도 디젤을 선택했다면 비슷할 거 같습니다. 그나마 10년 차 그룹사 할인받으니 대략 12프로 정도 할인이 되는 것 같습니다. 거기에 추가로 카드 일시불 할인받으면 못해도 600만원 이상은 받을 듯합니다.
9. 중고감가(요율 0.5)
팰리 중고가 신차보다 값이 비싸다는 개똥같은 기사를 봤습니다. 실제로 그럴 일이 있을까요. 그런데 전시차에 들어갔던 할인이 하나도 없는걸 보면 인기가 많나 봅니다. 중고감가는 팰리가 더 우위에 있는 것 같습니다.
https://www.etnews.com/20200615000183
10. 가족투표(요율 0.5)
아빠, 큰아들 모하비
엄마, 작은아들 팰리
작은 아들 말 못 합니다...
이래서 저희는 팰리세이드를 계약했습니다.
차 구매 당위성 이 정도면 확실합니다.
'팰리세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팰리세이드 가솔린 엔진 결함?(feat. 앳킨슨 사이클) (3) | 2021.07.03 |
---|---|
신차 사면 내는 세금? 공채매입? (0) | 2021.07.01 |
팰리세이드 4륜이 왜 필요한가?(feat. Htrac) (0) | 2021.07.01 |
팰리세이드 가솔린 기름값 감당 하겠어?(feat. 20inch HTRAC) (0) | 2021.06.25 |
외노자 (0) | 2021.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