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세무

알트코인 불장은 오는가?

슛하고불스 2025. 2. 16. 21:30

 

 

 코인니스 Solana 님의 의견을 정리한 글입니다.

판단은 개인이 알아서 하는거니 참고만..


 

 현재 많은 사람들이 4년 전인 2021년의 알트코인 움직임을 기준으로 삼으며, 그 당시의 흐름과 비교해 알트코인 강세장이 존재하는지에 대해 열띤 논쟁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저는 이 논쟁이 애초에 잘못된 기준에서 시작되었다고 생각한다.

 

지금 알트코인 시장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2021년 2월이 아니라, 2020년 3월의 상황을 참고해야 한다. 알트코인은 단순히 비트코인의 4년 주기 안에서만 평가할 수 없는, 보다 넓은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제부터 시총 상위 10위를 제외한 전체 알트코인 시총 차트(트레이딩뷰 OTHERS)를 기준으로 차트 분석을 해보려고 한다.

 

위 차트는 이번 사이클 내의 전체 알트코인 시총 흐름을 보여준다. 현재 차트는 더블탑 패턴을 형성한 후, 패닉셀로 인해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모습만으로 판단하면 “2024년 3월과 12월에 각각 고점을 찍고 알트 시즌이 끝난 건가?”라는 의문이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시점을 단순 비교하기보다는 5년 전, 즉 2020년의 상황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다음 차트는 지난 사이클에서 2020년 3월까지, 즉 알트코인 상승 전간기의 전체 시총 흐름을 보여준다. 당시에도 현재와 마찬가지로 2019년 7월과 2020년 2월에 더블탑이 나타났고, 패닉셀에 따른 급격한 하락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코로나19 팬데믹에 의한 공포가 크게 작용했었는데, 그 결과 현재와 매우 유사한 차트를 기록했다. 그렇다면 그 당시에도 패닉셀 이후 알트코인 강세장이 완전히 사라졌을까? 정답은 ‘절대 아니다’였다.

 

 

당시 나타난 더블탑은 세력들이 패닉셀을 노린 ‘베어트랩’이었으며, 이후 시장은 반등을 거쳐 지속적인 상승세로 전환되면서 결국 우리가 기억하는 알트코인 대불장이 시작되었다. 그렇다면 현재 알트코인 하락의 원인은 무엇일까?

  • 트럼프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실망으로 전락했는가?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문제였는가?
  • 금리 인하가 지연되어 영향을 미쳤는가?

 

 

정답은 ‘모두 맞다’이다. 여러 이슈들이 동시에 악재로 작용해 이번 패닉셀을 유발한 것이다. 이는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의 패닉셀과 매우 흡사한 양상을 보인다.

 

 

만약 2020년 3월 이후의 흐름과 같이 전개된다면, 지금부터 본격적인 V자 상승이 시작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지난 상승장은 단순히 알트코인 강세 전에 세력들이 매집하고 축적하던 2018년 말에서 2020년 초까지의 상승 전간기였던 것이다.

단지, 그 상승 전간기가 이전 사이클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길어졌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그 의미를 간과했을 뿐이다.

 

모든 개인 투자자들이 공포에 휩싸여 모든 코인을 매도한 후에는, 결국 본격적인 상승이 시작된다. 역사는 반복되기 마련이다. 2020년 3월 그 역사적인 저점에서 코인을 매수하지 못했던 것을 모두가 후회했던 것처럼, 이번에도 같은 패턴이 반복된다면 지금이 오히려 적극적으로 코인을 모아야 할 시점이 될 것이다.

 

결국, 다툼을 멈추고 냉정을 되찾아야 한다. 만약 구매 여력이 있다면 과감하게 매수하고, 만약 자금이 부족해 매수할 수 없다면 일단 버티는 것이 현명하다. 이것이 바로 지금 상황에 대한 해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