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자동차 검사 지연 과태료 감경 및 면제 가능 경우
슛하고불스
2025. 2. 4. 19:52
자동차 정기검사 또는 종합검사를 받지 않아 발생하는 검사 지연 과태료는 원칙적으로 차량 소유자의 책임이지만, 일부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감경 또는 면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자동차 검사 지연 과태료 감경 및 면제 가능 경우
✅ 1. 검사 기한 도래 전에 차량을 폐차 또는 말소한 경우
- 검사 기한이 지나기 전에 차량을 폐차(말소 등록) 했다면, 검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하지만, 폐차(말소) 신청을 했으나 행정 절차가 늦어져 검사 기간을 넘긴 경우에는
→ 이의신청을 통해 과태료 감면 또는 면제가 가능합니다.
📌 필요 서류
- 폐차(말소) 증명서
- 검사 연기 신청 기록(있다면 유리함)
✅ 2. 자동차 매매 후 이전등록이 지연된 경우
- 중고차를 판매한 후, 구매자가 이전 등록을 늦게 해서 검사 책임이 판매자(기존 소유자)에게 남아 있는 경우
- 이 경우, 매매 계약서 또는 소유권 이전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과태료 감면 또는 면제 가능
📌 필요 서류
- 자동차 매매 계약서
- 차량등록사업소에서 발급한 소유권 이전 내역
✅ 3. 행정청(교통안전공단 등)의 착오로 검사 안내를 받지 못한 경우
- 보통 자동차 검사는 사전 안내(문자, 우편 등) 가 오지만, 이 안내는 법적 의무가 아니라 행정 서비스입니다.
- 하지만, 주소 변경이 반영되지 않아 안내가 누락되었거나, 행정청의 과실로 정보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
→ 이의신청을 통해 감경 또는 면제 가능
📌 필요 서류
- 주소 변경 내역
- 검사 안내 미수신 증빙(우편물 반송 기록 등)
✅ 4. 재난, 질병, 천재지변 등 불가피한 사유로 검사를 받지 못한 경우
- 자동차 소유자가 입원, 해외 체류, 자연재해, 교통사고로 인한 장기 수리 등으로 검사를 받을 수 없는 상황
- 이 경우, 증빙서류 제출 시 과태료 감경 또는 면제 가능
📌 필요 서류
- 입원확인서 (병원)
- 출입국 기록 (출입국관리사무소)
- 교통사고 증빙 서류 (보험사, 경찰서)
- 차량 장기 정비 증명서 (정비소)
✅ 5. 과태료 부과 후 20일 이내에 납부하면 감경 가능
- 과태료 부과 통지를 받은 후 20일 이내에 납부하면 20% 감경됨
- 예를 들어, 과태료가 30만 원이라면 24만 원으로 줄어듦
📌 방법
- 고지서에 적힌 기한 내에 납부
❌ 과태료 감면이 어려운 경우
- 단순히 "검사 기간을 몰랐다", "검사 안내 문자를 못 받았다" 등의 이유는 감경 사유로 인정되지 않음
- 검사 기간이 지난 후에도 특별한 사유 없이 방치한 경우
📝 과태료 감경·면제 신청 방법
1️⃣ 과태료 부과 기관(구청, 차량등록사업소)에 문의
2️⃣ 이의 신청서 작성 및 제출
3️⃣ 감면 사유를 증빙할 서류 제출
4️⃣ 심사 후 감면 여부 결정
🔥 결론: 감면·면제 가능성 높은 경우
✅ 차량 폐차·말소, 중고차 매매로 소유권 이전이 된 경우
✅ 입원·해외 체류·교통사고 등 불가피한 사유가 있는 경우
✅ 행정청 착오로 안내를 못 받은 경우
✅ 과태료 부과 후 20일 이내 납부하면 20% 감경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