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화 엔진오일 선택 가이드(규격)
전편의 기유에 대하여 확인했으니, 이제 규격에 대하여 확인해보겠습니다.
제23화 팰리세이드 엔진오일 선택 가이드(기유)
엔진오일 교환 시기가 다가와서 기유에 대하여 공부해 봤습니다. 나름 원료를 만드는 공장을 짓기 때문에 더욱 관심 가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정말 간단하고 쉽게 엔진오일 선택할 수 있는 "
54mm.tistory.com
비교가 적절할지는 모르겠지만, 기유는 품질에 해당하면, 규격은 등급에 해당합니다.
품질(기유): 기본 특성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정도 (광유, 합성유)
등급(규격): 기능상 용도는 같지만, 기술적 특성은 다름 (성능 규격)
성능 규격을 확정하는 기관?
- API (American Petrol Insititute)
- ILSAC(International Lubricant Specification Advisory Committee)
성능 규격 발급 조건?
- API에서 EOLCS(Engine Oil Licensing and Certification System)에 의하여 테스트하여 조건에 부합하면 오일 제조사는 두 가지 마크, 서비스 기호 및 인증표시를 할 수 있음.
일반적인 성능 규격 표시
1. API Service Symbol "Donut"

특별한 성능 규격 두 가지 마크
1. API Certification Mark "Starburst"

- 이 표시가 있는 오일은 국제 윤활유 규격 자문 위원회(ILSAC) 의 엔진 보호 표준 및 연비 요구 사항을 충족
- ILSAC GF-6A 충족 / 최신규격
2. API Certification Mark "Shield"

- 이 표시가 있는 오일은 국제 윤활유 규격 자문 위원회(ILSAC) 의 엔진 보호 표준 및 연비 요구 사항을 충족
- ILSAC GF-6B
- 점도가 0W-16인 오일만 적용 / 최신규격
성능 규격 확인 방법?

1. Performance Level
- 가솔린 엔진을 사용할 경우 API's "S" Service 표기
- 디젤 엔진을 사용할 경우 API's "C" Commercial 표기
2. Viscosity Grade
- 전단 "W" Cold Cranking Simulation에 따라서, 정의된 온도에서의 Cold-Cranking Viscosity 가 정의 됨
- 후단 100도에서의 점도 비중
- 전단의 숫자가 낮을수록, 냉간 시동성이 좋고 마모도가 적다
3. Resource Conserving
- 가솔린 엔진에서 정해높은 기준보다 연료 효율이 좋을 경우 표기
4. Multiple Performance Levels
- 디젤엔진오일은 가솔린에서도 사용 가능한 경우가 있음
이럴 경우 먼저 "C" Category를 기재하고 나중에 "S" Category 표기
- 하지만 "S" 표기되었다 하더라고 가솔린 규격을 모두 만족하지는 않음
5. Plus Classifications
- 현재, SN PLUS 와 CI-4 PLUS만 규정되어 있음. 이는 soot(그을음)으로 인한 점도 증가/감소로 이한 엔진 보호를 위한 성능 향상
6. The API Service Symbol with FA-4
- 2017년 온실가스 배출기준을 충족하도록 설계된 고속 4행정 디젤 엔진오일로 지정된 후단 점도를 30으로 지정하고 있다.
- 다른 등급의 하위 버전의 오일과 상호교환, 역호환 되지 않으므
SAE Grade 란?
1. 전단의 숫자가 낮으면 시동성이 좋음
2. 전단의 숫자가 낮으면 냉간 시 엔진 보호 성능이 좋음

Spec Standard 분류(2020년 5월 1일부로)
1. API 최신 등급 : SP / CK-4
2. ILSAC 최신 등급: GF-6A/B

최신 규격 오일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 LSPI 억제
- 타이밍체인 마모 방지
- 피스톤 및 터보차저를 위한 고온 침전물 보호 개선
- 보다 엄격한 슬러지(Sludge), 니스(Varnish) 조절
- 연비 개선
- 배기가스 제어시스템 보호
SP 등급 오일의 LSPI 합격 기준?
175,000 ignition cycle X 4 Times = 700,000 ignition cycle
각 Test 회수의 평균이 5 미만(SN PLUS, SP)
각 Test에서 최대 8번 미만(SP) - 더 높은 요구사항

따라서, GDI 엔진은 무조건 SP 등급 사용이 필수입니다.
그리고 연비를 높이려면 저점도 오일을 써야 한다고 하는데, 정확하게 말하면 HTHS를 이해해야 합니다.
High Temperature High Shear Rate Viscosity Test 라는 고온 고전단 점도 테스트를 말하며, 말 그대로 고온 고속 조건에서의 전단에 의한 점도 변화 측정입니다. 즉, 고온에서 점도가 어떻게 유지되는지, 고온에서 유막의 두께를 어떻게 유지하는지 본다는 거죠. 이 점도가 유지되면 금속마찰이 되는 경계마찰을 방지하여 엔진부품의 내구성을 올려주지만, 점도가 올라가면 유체 마찰로 인하여 연비는 떨어집니다.


SAE 에서 오일 온도 150도에 운동부품의 속도를 유막의 두께로 나누어 최저 점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HTHS 측정을 한다고 합니다.
상위 그래프를 보면 2.9 Mpa.s부터 연비와 내구성을 둘 다 잡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결론
1. SP 등급의 엔진오일 선택(규격)
2. 3기유 이상의 오일 선택(품질)
3. 한통에 5천원 이상은 돈 낭비(가격)